서울시 IoT 소방시설관리 가동, 오작동 0% 도전한다

서울시는 사물인터넷(IoT)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소방시설관리 시스템을 3월부터 운영한다고 20일 밝혔다. 지난해 12월 구축을 완료하고 2월까지 시험 운영한다.

실시간 소방시설관리 시스템은 '스마트 안전도시 서울 구현'을 목표로 2017년부터 추진해 온 사업이다. 소방시설 100% 정상작동을 목표로 건축물에 설치된 소방시설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시스템이다.

현재까지 총 717개소 특정소방대상물(건축물)에 관련 시스템을 설치했다. 관할 소방서와 연결해 초단위로 정상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관할 소방서와 해당 건축물 소방안전관리자는 스마트폰과 PC로 실시간으로 소방시설 작동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작동상태는 빅데이터로 관리하고, 분석을 통해 비화재보(화재로 감지했으나, 먼지나 수증기 등으로 인한 감지로 실제 화재가 아닌 경우), 고장, 오작동 등 원인과 해결방안을 도출해 관할 소방서에서 해당 건축물별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할 예정이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소방시설 정상작동 여부는 인명피해 규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현재 소방공무원 인원으로 점검할 수 있는 건물 수에 한계가 있어 소방시설을 상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게 됐다”고 말했다.

소방시설 미작동은 대규모 인명피해로 이어진다. 2017년 2월 동탄 주상복합건물 화재로 52명(사망4, 부상 48)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지난해 9월 김포 요양병원에서 스프링클러 설비와 제연설비가 작동하지 않아 사상자 59명(사망3, 부상56) 사상자가 발생했다.

반면 소방시설이 정상 작동했던 신촌 세브란스병원(2018년 2월), 광진구의 고시원(2019년 2월) 화재의 경우 인명피해가 없었다.

서울시 소방점검 대상건물은 20만9000개소에 달한다. 소방공무원이 연간 2만개소를 조사하고 있어 전수 조사에 약 10년이 소요된다.

특정소방대상물(건축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은 소유자 등 관계자의 책임 하에 유지·관리해야 한다. 2018년 7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실시한 화재안전특별조사 결과 조사대상 5만9325개동 중 불량대상은 3만3674개동이었다. 불량률이 56.8%에 이르러 소방시설 관리에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현재까지 불량대상은 대부분 시정조치가 완료되었으나, 소방시설의 노후화 등으로 지속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2017년 12월부터 3개월간 종로구와 중구에 소재한 건물 8개소 시스템 구축 전후를 비교한 결과 화재 오작동은 713건에서 478건으로 33% 감소했고, 고장은 645건에서 132건으로 80% 감소했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시스템 효과성을 검증하고 보완하는 한편 관련 법 규정 제·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올해 시스템 효과성 검증을 바탕으로 '화재예방, 소방시설 유지·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을 건의하고, 관련 조례도 제정한다.

화재원인과 연소확대와 연관성이 있는 기상상황(기상청), 주변 환경(산림청), 전기의 안전사용(전기안전공사) 등 유관 기관과 축적된 데이터의 통합연계를 통해 화재와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AI(딥러닝) 기술을 활용, 화재위험 예측을 통해 특정소방대상물의 '화재안전등급'을 분류 해 나갈 계획이다.
신열우 서울소방재난본부장은 “실시간 소방시설관리 시스템 운영을 통해 소방시설 관리상 문제점을 개선하고 특정소방대상물(건축물) 소방안전관리자 역량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종합방재센터 119 영상신고 센터에서 상황실 직원이 응급 신고자와 5G 영상통화를 하고 있다. 전자신문DB
서울 종합방재센터 119 영상신고 센터에서 상황실 직원이 응급 신고자와 5G 영상통화를 하고 있다. 전자신문DB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